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5

절도죄 처벌 공소시효 성립요건 요점정리 우리나라는 놀라울 정도로 치안이 안정되어서, 절도죄 피해 염려가 크지 않은데요. 실제로 CCTV 및 블랙박스 등이 많아서 절도를 당하더라도 금방 범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절도죄를 저지르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되는 걸까요? 오늘은 절도죄란 무엇이며 절도죄 성립요건, 처벌 기준, 대응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절도죄란? 절도죄란 타인의 재물을 절취하는 범죄로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는 대표적인 범죄인데요. 여기서 '타인의 재물'이란 타인이 점유하고 있는 재물로서, 유체물 및 관리할 수 있는 동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보거나 혹은 주관적인 시선으로 봐도 전혀 가치가 없는 경우에는 재물이 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절취'란 폭행이나 협박에 의하지 않고 점유자 점유를 침해하고, .. 2020. 10. 28.
학교폭력 징계 처벌 신고절차 요약정리 2020 국감에 따르면 학교폭력 가해학생 수가 4년 새 45%나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이 피해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는데요. 그렇다면 현재는 학교폭력이 발생하면 어떤 처벌을 받는 걸까요? 오늘은 학교폭력이란 무엇이며 학교폭력 신고절차와 징계 처벌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학교폭력이란? 학교 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명예훼손, 모욕, 공갈, 강제적인 심부름, 따돌림 등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를 말하는데요. 장난으로 한 행동이더라도 피해를 당한 사람이 장난이 아니라고 느꼈다면 학교 폭력이 될 수.. 2020. 10. 27.
배임죄 성립요건 형량 처벌 요점정리 공적인 업무를 위해 지급받은 법인카드를 개인 용도로 사용한다면 배임죄로 처벌받을 수 있는데요. 뿐만 아니라 회사가 손해배상 책임까지 물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배임죄란 어떤 범죄일까요? 오늘은 배임죄란 무엇이며 배임죄 성립요건과 처벌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배임죄란? 배임죄란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되는 행위를 함으로써 재산상의 이득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하는 범죄를 말하는데요. 여기서 '임무에 위반하는 행위'란 신임관계의 취지에 반하는 행위를 말하며, 신임 관계의 취지는 계약의 내용이나 법률의 규정 또는 관습 등에 기인하여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해 결정됩니다. ◎ 배임죄 성립요건 1. 타인의 사무 처리.. 2020. 10. 23.
상속세 증여세 차이 공제한도 알아보기 상속세와 증여세는 얼핏 비슷해 보이지만 조금은 다른 개념의 세금인데요. 절세를 위해서는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상속세와 증여세와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상속세 증여세 차이점과 계산 방법, 공제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상속세란? 상속세란 사망에 의해 무상으로 이전되는 재산에 대해 과세되는 조세를 말하는데요. 납세의무자는 상속개시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상속세를 자진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자진신고, 납부의 경우에는 신고세액공제를 하며,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총 상속재산 - 상속 공제액) x 상속세율 = 상속세 ◎ 증여세란? 증여세란 타인의 증여에 의해 무상으로 취득한 재산에 대해 부과하는 조세를 말하는데요. 증.. 2020. 10. 22.
층간소음 법적기준 손해배상 청구 요약정리 층간소음으로 인해 이웃끼리 다툼을 벌이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데요. 이렇게 층간소음이 발생하면 직접적인 다툼보다 법적으로 깔끔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렇다면 법적으로 층간소음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오늘은 층간소음이란 무엇이며, 법적기준, 손해배상 청구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층간소음이란? 층간소음이란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거 공간에서 주로 발생하는 소음 공해를 말하는데요. 주택법 제44조 제1항 및 주택법 시행령 제57조 제1항 제21호에 따르면 층간소음은 아이들이 뛰는 소리, 문 닫는 소리, 애완견 짖는 소리, 늦은 시간이나 이른 시간에 세탁기나 청소기 등을 사용하는 소리, 화장실 물 내리는 소리 등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층간 소.. 2020. 10. 21.
기물파손죄 성립요건 벌금 처벌 요약정리 가끔씩 자신의 분에 못 이겨 물건을 부수는 행동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자신의 물건만 부쉈다면 큰 문제는 없지만, 만약 타인의 물건을 부쉈다면 기물파손죄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순간적으로 화가 나더라도 타인의 물건은 절대 파손해서는 안 되는데요. 그런데 만약 타인의 물건을 실수로 부수게 되면 어떤 처벌을 받게 되는 걸까요? 오늘은 기물파손죄 성립요건과 벌금, 처벌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기물파손죄란? 기물파손죄의 정확한 형법상 용어는 '기물손괴죄'인데요. 기물손괴죄란 타인의 재물, 문서 등을 손괴하거나 은닉해 효용을 해하는 범죄를 뜻합니다. 여기서 '손괴'란 물질적인 훼손을 말하며, '은닉'이란 물건을 숨겨 그 발견을 곤란하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효용을 해한다는 의.. 2020.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