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과료 벌금 범칙금 과태료 과징금 차이

by 블로그노마드 2020. 8. 19.

일반적으로 법을 위반하면 과료, 벌금, 범칙금, 과태료, 과징금 등의 처벌을 받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과료, 벌금, 범칙금, 과태료 과징금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과료, 벌금, 범칙금, 과태료, 과징금의 뜻과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과료

과료는 경미한 범죄에 대해 2천원 이상, 5만원 미만의 금액을 징수하는 형벌입니다.

 

과료는 판결확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과료를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1일 이상, 30일 미만의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여 작업에 복무해야 합니다.

과료는 전과 기록에는 남지 않지만, 수사경력자료에는 남게 됩니다.

 

 

 

◎ 벌금

벌금은 범죄를 저지른 범인으로부터 5만원 이상의 금액을 징수하는 형벌입니다.

 

벌금은 판결 확정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벌금을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3년 이하의 기간 동안 노역장에 유치하여 작업에 복무해야 합니다.

벌금은 전과기록에 남게 됩니다.

 

 

 

◎ 범칙금

범칙금은 범죄 처벌법, 도로교통법규 등을 범하거나 위반했을 때 경찰서장이 발부하는 행정처분입니다.

 

범칙금을 기한 내에 내지 않은 경우에는 1차 금액에서 20% 가산된 금액을 2차 기한 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2차 기한 내에도 범칙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즉결심판에 회부되며, 즉결심판이 청구되기 전까지 범칙금의 50% 가산된 금액을 납부해야 합니다.

 

끝까지 범칙금을 내지 않으면 즉결심판에 넘겨져 판사가 2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나 구류, 과료를 선고합니다.

 

 

 

◎ 과태료

과태료는 벌금이나 과료와 달리 형벌의 성질을 가지지 않는 행정상의 벌과금인데요.

즉, 과태료는 가장 가벼운 처벌로서 행정법상의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의 수단일 뿐, 원칙적으로 형법의 적용 대상이 아니며 전과기록에도 남지 않습니다.

 

1. 과태료 납부 고지서를 받은 후,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2. 과태료는 기초수급 생활자, 한부모가족 중 보호대상자, 1-3급 장애인, 상이등급 1-3급 국가유공자, 미성년자에 대해 50% 범위 내에서 감경됩니다.

 

3. 과태료는 의견 제출 기한 이내에 납부할 경우에는 100분의 20의 범위 내에서 감경됩니다.

 

 

◎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

1. 교통경찰관에게 현장 단속을 당했다면 '범칙금', 교통위반 단속 장비에 의해 단속되었다면 '과태료'입니다.

 

2. 일반적으로 과태료가 범칙금보다 1만원 정도 비쌉니다.

 

3. 범칙금은 차량 운전자에게 부과되지만, 과태료는 차량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

 

 

◎ 과징금

과징금은 행정법상 위반행위로 인한 불법적인 경제적 이익을 박탈, 추징하는 금전적 제재입니다.

과징금은 행정법상의 의무 위반 사항에 대한 금전적 제재라는 점에서 벌금이나 과태료와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지만, 이득 환수라는 점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 추천글

 

형사사건 진행 절차

형사사건 우리나라는 치안이 좋은 국가 중 하나인데요. 따라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은 범죄와 관련되어 형사사건에 휘말리는 경우가 드뭅니다. 하지만 이런 환경 속에서 갑작스럽게 형�

robotblog2.tistory.com

 

피고인 뜻 지위 묵비권 정리

피고인 다양한 법률용어 중에서도 피고인이라는 용어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특히나 피고인과 피의자는 어떤 점이 다른지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도대체 피고인은 무슨

robotblog2.tistory.com

 

고소 고발 차이점과 절차

고소 고발 차이 '고소'라는 말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농담으로 '고소'라는 말을 자주 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고소와 고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고소와 고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

robotblog2.tistory.com

 

728x90